갤러리

“세계 석학들과 반도체 미래 논했다” ‘NVMTS 2024’ 국제학회 성료

“세계 석학들과 반도체 미래 논했다” ‘NVMTS 2024’ 국제학회 성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비휘발성 메모리 최신 기술 논의 글로벌 전문가 250여 명 모여 차세대 기술 토론 UNIST가 IEEE, EDS,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와 함께 차세대 반도체 기술 발전을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이 주관한 The 22nd Non-Volatile Memory Technology Symposium(이하...

UNIST,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사업비 150억

UNIST,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사업비 150억 국비 140억 확보, 학사에서 박사까지 전주기 인력양성 울산시 10억 원 지원… 산업현장 실무인재 배출 목표 UNIST가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이끌 전문 인재 양성에 속도를 낸다. 교육부 ‘2024년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선정, 4년간 사업비 150억 원(국비 140억 원, 지방비 10억 원)을 확보했다. 이번...

UNIST 반도체 TOP 3로 우뚝..산업부 반도체특성화대학원지원사업 선정!

UNIST 반도체 Top 3로 우뚝..산업부 반도체특성화대학원지원사업 선정!   UNIST가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반도체특성화대학원으로 지정받았다. 5년간 총 150억 원의 통 큰 지원을 받게 됐다. 윤태식 UNIST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장은 “지난 3월 삼성 반도체 계약학과 유치 에 이어 반도체특성화대학원지원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UNIST가 국내 대학 반도체 분야 연구역량 톱 3임을 인정받은 셈”이라며 “학부생부터 대학원생까지 전주기적인 반도체 핵심인재를 양성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정후영 교수, ‘2022 상위 1% 연구자’ 선정: HCR(Highly Cited Researchers)

‘2022 상위 1% 연구자’에 UNIST 10명!… “국내 최다” 논문 피인용 횟수 기준 상위 1% 영향력 지닌 연구자에 교원 10명 선정 클래리베이트 현지 시각 15일(화) 공개… “UNIST는 에너지 및 재료과학 강세” UNIST 교원 10명이 ‘세계 상위 1% 연구자(HCR)’에 선정됐다. 올해 명단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은 HCR을 보유한 기관이 UNIST다. 클래리베이트(Clarivate)가...

최문기 교수팀, 피부에 붙이는 고성능 디스플레이 구현 성공. Science advances 논문 발표

이번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이 UNIST 학술정보관 복합문화공간에서 촬영했다.   뒷줄 왼쪽이 최문기 교수이고, 앞줄 오른쪽 두 번째가 제1저자인 권종익 연구원이다. “현실 같이 생생하다!”… 초고해상도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최문기 신소재공학과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발광소자의 삼원색 세계 최고 효율 달성 피부에 붙이는 고성능 디스플레이 구현 성공… Science advances 논문 발표 눈으로 보는 것만큼 생생한...

손재성-이지석 교수팀, 저비용‧고효율 무기물 광학 프린팅 기술 개발

이번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 왼쪽부터 이지석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정상균 에너지화학공학과 연구원, 손재성 신소재공학과 교수, 백성헌 신소재공학과 연구원.   무기 반도체 소재의 패터닝? ‘사진 뽑듯’ 간단하게! 손재성-이지석 교수팀, 저비용‧고효율 무기물 광학 프린팅 기술 개발 기능성 금속 칼코게나이드 잉크 개발…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발표 손재성–이지석 교수팀은 빛을 받으면 굳는(광경화성) ‘금속 칼코게나이드 잉크’와...

권순용-이종훈 교수팀, ‘1나노 반도체’ 앞당긴다… 원자층 트랜지스터 제조기술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의 모습. (오른쪽부터) 권순용 교수, 송승욱 연구원(제1저자), 심여선 연구원, 이종훈 교수(공동교신저자)의 모습. ‘1나노 반도체’ 앞당긴다… 원자층 트랜지스터 제조기술 권순용‧이종훈 신소재공학과 교수팀, 반도체-금속 간 1나노 수준 접합 소자 대면적화 성공 고성능 반도체 소자 미세화‧고집적화 탄력 기대… Nature Communications 게재 권순용·이종훈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반도체 물질과 ‘초미세 금속 전극’이 0.7나노미터(원자 3개 크기)를...